대인관계

회피성 성격 인간관계가 어려워요

냐냥냥

2022.07.04.

8
10

어릴 때까지만해도 활발했었는데 중고등학교에 진학하고 별것 아닌 이유로 따돌림을 당한 이유로는 인간관계에 있어 아주 소극적이고 회피적인 성격이 된것같아요
상처받기 싫어서 긴밀한 관계를 맺지 않는다는 게 더 가까운 것 같네요 상대방에게 먼저 다가갈 줄 모르고 혹여 먼저 다가와 주더라도 혼자 벽치는 게 느껴지니 관계 발전이 어렵더라고요
연애를 하더라도 조금만 연락이 느려지거나 달라지면 극도로 불안해하고 혼자 차이는 걸 걱정하다 결국은 혼자 정리하게 됩니다 먼저 버림받는 게 두려워서요
여태까지는 이대로도 나쁘지 않다며 위로해 왔으나 나이를 먹으면 먹을수록 외로움이 짙어지고 또 공허해지네요 나이는 헛으로 먹었는지 사회화는 덜돼 여전히 먼저 다가가는 게 어렵습니다 시뮬레이션은 늘 열심히 돌려보지만 정작 사람들 앞에서는 두려워서 입이 열리지가 않네요
이제 인간관계도 넓히고 싶고 사회성을 기르고 싶은데 이런 제 성격 고치는 건 이제 너무 늦었을까요 사실 현실적인 방안보다는 외롭고 속상해져서 늘어놓는 한탄에 가깝지만요

목록보기

상담사 답변

* 마음하나의 전문 상담사가 답변하고 있어요.

안녕하세요 마음친구님.
중고등학교에 진학해서 따돌림을 당하고, 인간관계에 소극적이고 회피적이 되셨다구요.
상처받기도 싫고, 상대방에서 먼저 다가갈 줄 모르고. 다가오더라도 벽을 치고.. 연애관계에서도 조그만 제스쳐에도 많이 걱정하다 정리를 하게 되시나봐요..

관계에 대해 극도로 불안해 하거나, 버림받고 차이는것에 큰 불안이 있으신 것 같아요.
지금 마음친구님께서 느끼시는 불안감과 공허함이 얼마나 큰 것일지..
정말 걱정도 되고 맘이 쓰이네요.
이제 인간관계도 넓히고 싶고, 사회성도 기르고 싶다고 하셨어요.

사람에게는 신경 가소성이라는 것이 있답니다. 사회성을 기르고 인간관계를 넓히는데에 있어 늦은 시기가 있다는건 아니라는 말씀입니다. 과학적으로 접근 해 볼까요?

흔히들 나이가 들면 뇌가 굳는다고 하죠? 하지만 우리 뇌는 신경 가소성이라는 것이 있어서 뇌의 어떤 부분을 유동적으로 변하게 할 수 있습니다. 쉽게 말하면.. 뇌의 한 부분을 쓰지 않던 사람이, 재활과 훈련을 통해 그 부분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는 말입니다.

사회성이라는것도 같습니다. 마음친구님께서 늘 회피하던 상황들이 있었을 거예요.
그 장면들이 어떤 장면들이었는지, 상황들이었는지 떠올려보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.
내 문제 상황을 알아차리는것은 첫번째 해결방안입니다.

그 다음 해결방안을 볼까요? 우리의 뇌에는 이마쪽에 전두엽이라는 게 있는데요. 전두엽중에서도 눈부분을 감싸고 있는 안와 전두엽은 사회성을 담당하는 부분이에요.
전두엽은 다른 뇌의 부분과 달리, 나이를 먹고 시간이 지날수록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알려져있고, 좀 더 발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. 가소성이 있다는 뜻이지요.

긍정적인 사회경험이 내 뇌 속에 쌓이게 되면, 그 다음 더 좋은 사회적 관계와 상황을 원하게 됩니다. 뇌가 그렇게 설계되어 있지요. 마음친구님께서 부정적인 사회경험을 자주 했기 때문에, 그 다음 사회적 장면에서 계속 회피하게 된 것이니, 앞으로 단 한번의 긍정적 사회경험만 있어도 다음 좋은 사회경험을 원하게 될 것이예요.
마음을 급하게 먹지 마시고, 좋은 사회경험을 하게 되었을 때 그 경험을 되새기고 의미있게 남기는 것이 방법입니다.
내 뇌는 자연스럽게 다음 더 좋은 사회적 경험을 원하게 되고, 그에 따른 행동을 하게 될테니까요.

사회성을 기르는데 있어 늦은 시기란 없다고 말씀 드렸지요?
저의 댓글이 작은 희망이 되길 바래봅니다.
감사합니다.

댓글

10